호주의 기준금리 동결이 던진 긴축속도 조절의 화두

메리츠증권 pdf market_strategy_100203.pdf

해외발 악재, 수급 악화가 가로막은 지수 반등


증시가 반등을 모색하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아 보인다. 중국의 모기지 금리 인상과 호주 기준금리 동결 등 해외 발 이슈가 뉴욕증시의 상승 호재를 상쇄한 가운데 프로그램 매물과 외국인 매수세 둔화 등의 수급공백도 지수 반등을 힘겹게 하고 있다.

 


호주의 금리동결이 던진 ‘긴축 정책 속도 조절’에 대한 화두


긴축정책을 둘러싼 우려가 전일 지수 하락을 이끌었지만 그 내용은 정반대인 점이 흥미롭다.


중국 은행감독관리위원회가 시중 은행들에 3차 모기지 대출 금리를 인상할 것을 지시했다는 소식은 중국의 긴축 정책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를 더했다. 반면, 비슷한 시각 이어진 호주 중앙은행(RBA)의기준금리 동결은 오히려 경제 회복 속도에 대한 의문점을 시장에 제기했다.


국내증시 입장에서는 두 변수 모두 긴축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을 키웠다는 점에서 악재로 작용했지만사실 이번 이슈를 통해서 ‘긴축 정책의 속도 조절’이라는 화두가 시장에 던져진 점은 부인하기 어려워 보인다.


중국과 호주 두 국가 모두 금융위기의 여파가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하면서 가장 먼저 긴축을 실시하고는 있지만 정책에 대한 자신감이라는 측면에서는 의문점이 제기되었다고 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호주 중앙은행은 금번 기준금리 동결에 유럽 국가의 신용문제를 둘러싼 리스크가 영향을 줬음을 분명히 했다. 또한 향후 단기간 동결 정책이 지속될 수 있음을 암시했다는 점은 중국 정부의 향후 행보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아 보인다.

 

중국 정부가 대출제한, 지준율 인상, 모기지 금리 인상 등의 조치를 취하고는 있지만 공식적인 채널로는 ‘과잉 유동성과 인플레 방지’를 위한 것이며 ‘완화된 통화정책을 유지해 나갈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현재 지준율 인상과 대출 규제 등이 특정 대형은행을 대상으로 한 정책에 그치고 있는 점을 감안했을때 ‘예상보다 빠른 긴축전환’에 대한 우려는 제한적이나마 희석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중국 정부의 우려와 달리 1월 신규대출이 1조 1천억 위안을 밑도는 것으로 집계된 점도 이 같은 전망에 무게를 실어주고 있다는 판단이다.

 

 

 

 

<첨부된 PDF 파일을 열면 관련 내용을 더 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