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롱속의 주식한주 | 금리동결 당연한 수순...

지난달에 이어 금월까지 장롱은 지나친 여론쏠림에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 두어야 한다고 하였지만 현재 경제적 상황으로 놓고 볼때 금리인하의 불필요성 그리고 효과도 교과서에서 말하는 효과는 아닐 것이라는 전망을 내린바 있다.

한국의 경기불황은 정치적 신뢰성에서 깨져 생긴 소비수축과 비정상적 물가구조 및 소득 불균형에서 생긴 양극화 문제때문으로 부자가 소비를 많이 해주거나 또는 정부정책이 바로 설때 비로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전망을 해왔다.

이때문에 약자와 강자가 서로 반성하는 사회, 국민과 정치인이 모두 반성하는 사회, 서민과 부자가 반성하는 사회의 경제민주화 실현을 중시했다.

하지만 지금 구조는 특정 주체에 책임과 희생을 강요하는 정책방향으로 가고 있어 화해보다는 불신으로 가는 구조가 경기회복의 걸림돌이 된다고 하였다.

 

경제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수리적으로 볼 것이냐 철학적으로 볼 것이냐에 따라 위의 이야기가 얼마나 공감되느냐가 달릴 것이다.대부분 수리적 기준이 이해하기 쉽다보니 철학적 원리에 대한 문제는 배척하려는 경향들이 있어와 시장에서는 연일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만 부풀고 금리인하를 하지 않으면 실망했다는 듯이 투매연발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지금은 정부가 어떤 정책을 취하지 않더라도 시장에 믿음만 주는 역할로도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 생각하는데 매번의 정권이 그랬듯이 땅따먹기, 세력확장하기에 급급하여 제대로된 경제정책에는 무심한 측면이 있다는 생각이다.

정부가 정부로서의 역할만 잘하면 되는데 연일 여론을 조성하여 한은을 압박하여 금리인하로 문제를 풀어 나가려는 것은 사실상 정부는 능력이 없다는 것을 시장에 노출시키는 결과만 초래한다.

오히려 금리인하 없이도 경기를 회복시킬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주는 것이 더 효과적인 정책일 것이다.

 

시장에서는 계속해서 금리인하를 기대하는 것은 단기적 고수익때문이다.

금리인하를 하면 어쩔수 없이 시중에 자금이 쏠려 나오고 이는 주가를 비롯하여 모든 자산을 단시간내 급등시킬것이라는 기대심리가 깔려 있기 때문이다.

만약 한은이 시장의 압박에 넘어가 자산가격이 폭등하고 물가가 폭등했다면 또다시 그 책임을 한은에 떠 넘기려는 것이 그동안의 시장 문화였기 때문에 한은의 입장에서는 금리인하가 쉽지 않았을 것이라 여겨진다.

지금 시장에는 저평가되었으면서도 안정적인 성장을 하고 있고 앞으로도 그러할 기업들이 많다.

이런 기업들의 주가가 적정가격을 반영하고 그로 인해 수혜를 본 투자자들이 소비확대를 해줌으로서 경기를 살려 나가야 하는데 정부는 주가가 오르면 주가조작이라는 분위기를 만들어 규제하겠다는 목소리를 내다보니 가격이 형성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지금은 투자자들이 금리인하에 베팅하기 보다는 정부정책의 효과를 솔직하게 평가하고 그에 맞추어 해당기업들의 수혜정도를 판단한 투자를 하거나 개별 종목의 특성에 따른 평가와 투자를 해야지 단시간내 급등할 재료만 찾는 투자를 지향해서는 안된다는 생각이다.

또한 정부도 건설업에 지나친 집중보다는 경기부터 살리고 이후 부동산을 살린다는 목표를 수정해야 한다.

이러한 수순만 바꾸어도 시장의 분위기는 크게 달라질 것이라고 본다.

 

 




김춘삼 장롱속의 주식한주 - http://cafe.daum.net/hanhwaseong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