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팽창의 한계와 현황 일본의 버블붕괴 경험과 중국(1)

'

번번이 약속을 지키지 못해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대신에 미완성이나마 원래 약속드렸던 '중국론'에 관한 글을 올려드립니다.

이 글도 길어서 하나의 파일에 올라가지 않는다고 하여 부득이 2개로 나누어 올립니다. 

 

+++++++++++++++++++++++++++++++ 

 

1. 통화의 본질과 그 팽창의 한계

동 부분의 글은 세일러님의 글 은행은 이자는 만들어 내지 않는다의 요약임

   


    


그림에서 대출 Loan 아니라 Bond 등을 포함하는 Debt, 은행은 금융기관으로 이해해야 . 이하 동일

 

- 그림에서 소개한 신용창조 과정을 통해 은행이 만들어낸 대출금 총액은 13 7,857억원(이론적 최대금액)이며, 은행이 지급준비금으로 보유하게 되는 금액의 합계는 애초에 주어진 본원통화 금액 5,000억원과 일치.

[PV = MQ]에서 V 결정하는 요인은 상기 그림의 Process 이론적 최대치에 비해 얼마나 진행되느냐에 달려 있음.

 

- 상기 그림을 이해한다면, 결국 모든 돈은 은행 대출의 결과로 생겨난 것임을 있음.

 

- 상기 그림에 따른 신용창조가 5% 이자율로 이루어졌다면, 5 원리금 상환금액은 대출원금 13 7,857억원과 이자 3 4,464억원이 .

 

A씨는 대출원금 5000억원  +  이자(25%) 1250.00억원,

B씨는 대출원금 4825억원  +  이자(25%) 1206.25억원,

C씨는 대출원금 4656.1억원  +  이자(25%) 1164.02억원,

D씨는 대출원금 4493.2억원  +  이자(25%) 1123.30억원,

...... 

 

- 그런데 애초에 은행이 신용창조를 통해서 만들어낸 돈은 13 7,857억원 뿐이며, 다른 돈은 존재하지 아니함. 결국 이자 상환을 위한 3 4,464억원은 부족하게 .

 

- 말이 의미하는 바는, 내가 이자를 있으려면 다른 누군가의 원본을 가져와야 한다는 것이며 누군가의 원본을 가져오지 못하는 사람은 디폴트를 내게 된다는 것임. 이는 의자 뺏기 게임과 동일한 원리로서, 누군가는 반드시 탈락해야 함을 의미.

 

- EU 유로화를 도입하는 정책 과정에 참여하기도 했던 국제금융학 교수이자 통화개혁에 대한 책을 저술하기도 베르나르 리에테르(Bernard Lietaer), 화폐시스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언급.

 

“은행이 당신에게 담보대출로 10만 달러를 빌려주었다면 거기서는 원금만 발행한다. 그 돈을 당신이 소비하면 사회 안에서 유통된다. 은행은 당신에게 앞으로 20년에 걸쳐 20만 달러를 갚으라고 한다. 그러나 나머지 10만 달러, 즉 이자 부분은 은행이 발행하지 않았다. 대신 은행은 당신을 각박한 세상으로 내보내 다른 모든 사람과 싸우라고 한다. 나머지 10만 달러를 가져와야 하기 때문이다........

탐욕과 경쟁은 변할 수 없는 인간 본성의 결과물이 아니다. …탐욕과 결핍에 대한 두려움은 사실 우리가 이런 돈을 사용하는 데 따른 직접적인 결과로서 끊임없이 만들어지고 증폭되어 왔다. …우리는 모든 사람이 충분히 먹고도 남을 음식을 만들어낼 수 있고, 이 세상에는 분명히 모든 사람에게 충분한 일거리가 있다. 그러나 빚을 모두 갚을 만큼 충분한 돈은 없다. 결핍은 우리 통화 속에 있다. …우리는 살아남기 위해 서로 싸워야 하는 것이다.

 

 

- 이처럼 냉혹한 결과가 현실화 되는 것을 지연시키는 가지 방법은, 이자를 지급하기에 충분한 새로운 대출을 계속 늘리는 ( 통화량을 계속 늘리는 ). 이렇게 하면 당장은 시스템적인 냉혹함이 현실화되는 것을 뒤로 미룰 있음.  

 

- 하지만 이렇게 추가 대출을 통해 이자를 갚아나가는 시스템은 피라미드 구조와 동일함. 언제 어느 때고 어떤 이유로 해서든 추가 대출이 뒷받침 되지 못하면 바로 붕괴되며, 여기에 시스템의 구조적 불안정성이 노정되어 있음.

 

- 추가 대출이 멈추고 누군가 부도가 나게 되면 채무를 청산하는 절차를 밟게 . 채무 = 신용(통화)이므로, 채무가 청산된다는 것은 만큼 경제 내의 통화량이 줄어든다는 의미임.

- 채무청산으로 은행들의 대출손실이 늘어나기 시작하면 은행들은 신규대출이나 기존대출의 만기연장에 대해 소극적이 것이고, 그럼 통화량은 더욱 감소. 이에 따라 의자뺏기 게임이 더욱 격렬해지고 탈락자가 빠르게 증가하게 .  

 

- 이처럼 시스템은 안정적으로 ‘현상을 유지’한다는 상태가 존재할 없음. 끊임없이 팽창하든지 아니면 팽창을 멈추는 순간 바로 연쇄적인 수축으로 이어짐

 

- 복리 그래프를 보면 나중에는 이자부담금액이 거의 수직적으로 증가함. 원리금 상환금액이 소득 대비 일정 수준 이상으로 계속 증가할 경우 원리금 상환 안정성에 심각한 의구심이 발생할 수밖에 없음.

- 결국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이자부담금액과 상환능력(=소득) 제약으로 인해, 총액을 지속적으로 늘림으로써 의자뺏기 게임이 현실화하는 것을 지연시키는 것은 한계를 가질 밖에 없음.

- 현재 Global 주요국들은 지속적인 신용팽창으로 인해 소득 대비 부채의 비율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 가고 있음. 과잉 팽창된 신용팽창에 대한 조정의 시기를 지연시키면 지연시킬수록 조정 과정은 더욱 격렬해 지거나 장기화될 수밖에 없음.

 

 

 

2. 과잉팽창된 부채(=통화), 폭탄 돌리기

1) 미국

- 이전에 올린 미국 금융시장의 폭탄돌리기 참고 요망.

 

2) 한국 

 

- 2000년대 초중반 완만하게 상승하던 [GDP 대비 통화량] 비율이 2006년부터 가파르게 상승.

   - 이는 주로 APT담보대출의 급증에 기인하며, 서울 APT가격의 이상급등 현상의 원동력이 .

 

- 아래의 표는 한국의 통화량 구성 항목을 나타냄. 이를 통해서도 통화량 = 부채인지 유추할 있을 것임. 참고로, 현대 경제학에서 M1, M2, MZM(미국), Lf(한국), L(한국) 등을 논하는 것은 통화량 = 부채라는 사실을 일반인들에게 은폐하기 위함이라는 지적도 곱씹어 생각해 문제임 

 

 

3) 중국 

   

- 2000년대 중반 횡보하던 중국의 GDP 대비 M2 비율도 2008 말부터 가파르게 상승 시작. 

- 경제의 총부채 규모를 반영하는 Lf, L 경우는 M2 비해 더욱 가파르게 상승했을 것으로 짐작(한국의 경우 참조)

 


- 신용팽창의 가속화는 중국 부동산의 전고점 돌파와 중국 증시의 빠른 회복세를 견인.

- 신용팽창 가속화와 자산시장 거품 증가로 중국 경제 역시 외부 충격에 점점 취약해지고 있는 상황.

 

(다음 글에서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