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교리

나마스테 - 성불하십시오.

circle03_skyblue.gif 불교의 의의

불교(佛敎)란 부처님의 가르침을 뜻하며, 동시에 부처가 되는 길을 제시한 가르침을 말합니다. 부처라는 말은 산스크리트 어인 '붓다'(Buddha)를 따서 만들었으며, 깨달은 사람을 뜻합니다.

깨달음이란 단순한 개념이나 관념이 아니며, 부처님이 체험을 통하여 증득한 것입니다. 따라서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가르쳐 주신 그 가르침또한 배워서 알아야 하는 지식에 그치는 것이 아니며, 오로지 그 가르침을 믿고, 그에 따라 실천 수행해야 합니다. 깊고 참된 진리를 깨달은 이는, 다른 사람도 깨달음을 얻도록 가르침을 주며, 지혜와 복덕이 원만하고, 이치와 사리에 어긋남이 없으며, 5욕(欲)에 집착하는 미혹(迷惑)에서 벗어나 깨달음의 세계를 열고, 마음을 괴롭히는 번뇌를 끊습니다. 그리하여 마침내 생사의 괴로움이 완전히 없어진, 불교 최고의 이상인 열반(涅槃)을 성취합니다.

 

circle03_skyblue.gif 불교 수행의 목적

 

불교에서 신앙의 대상은 무엇이며, 그 목적은 무엇인가? 또한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어떤 수행을 할 것인가? 불자(佛子)라면 누구나 불(佛), 법(法), 승(僧), 3보(寶)에 귀의하고, 4홍서원(弘誓願)의 원력을 세우며, 6바라밀(波羅密)을 수행해야 합니다. 또한 불교를 믿고 수행하여, 최종 목표인 열반을 증득하기 위해서는,굳건한 실천력과 지속력, 집중력을 쏟아서 정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먼저 3귀의는 다음과 같습니다."거룩한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한 가르침에 귀의합니다. 거룩한 스님들께 귀의합니다."이렇게 맹세한 뒤 4홍서원을 세웁니다.

 

첫째 고통 받는 중생들의 수가 한이 없다 할지라도 모두 제도하겠습니다.

둘째 번뇌가 한이 없다 할지라도 모두 끊겠습니다.

셋째 부처님의 가르침이 한량없지만 모두 배우겠습니다.

넷째 위없는 불도를 온전히 이루겠습니다.

 

3귀의와 4홍서원을 한 불자는 6바라밀을 실천해야 합니다. 즉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 등입니다.

 

이러한 6바라밀의 수행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항상 신행(信行)을 실천하는 생활이 되도록 합니다.

둘째 항상 청정하게 계율을 지킵니다.

셋째 항상 기본적인 교리를 공부하여 불법을 이해하도록 힘씁니다.

넷째 항상 깨달음을 얻으려는 마음을 내어 수행합니다.

다섯째 항상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여 중생을 구제하도록 노력합니다.

 

circle03_skyblue.gif 불교의 분류

 

(1) 사상적 분류

 

크게 소승(小乘)과 대승(大乘)으로 나뉩니다. 소승 불교는 아라한이 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업보(業報) 사상을 핵심으로 합니다. 대체로 자기 완성을 추구하는 것을 최상으로 삼기 때문에 자리주의적(自利主義的)이라고 평가됩니다. 대승 불교가 공(空) 사상을 중심으로 한다는 점과 대비하여 유(有) 사상이 중심을 이룬다고도 합니다. 전체적인 사상적 경향은 이론적인 면이 강합니다.

 

대승 불교의 최상 목적은 부처가 되는 것입니다. 원행(願行) 사상이 그 핵심을 이루며 이타주의적(利他主義的)인 성향을 띱니다. 보살은 중생 구제를 위해서 온갖 수행을 다하는 것을 최선으로 하기 때문에 실천성을 중요시합니다.

 

(2) 수행자를 기준으로 한 분류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 등으로 나뉩니다. 성문승은 4성제, 8정도 등의 가르침을 듣고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얻기 위해서 수행하는 이들입니다.연각승은 혼자서 12인연법을 깨운친 이들을 가리킨다. 벽지불 또는 독각이라고도 합니다. 보살승은 불과(佛果)를 얻기 위해서 대승법(大乘法)을 실천하는 수행자들을 가리킵니다.

 

(3) 시대적 분류

초기 불교, 부파(部派) 불교, 대승 불교, 셋으로 나뉩니다. 초기 불교는 부처님이 생존해 했던 당시부터 부처님이 입멸한 뒤 100년경까지의 시기를 초기 불교라 합니다. 초기 불교시대를 근본 불교, 원시(原始) 불교 등으로 달리 부르기도 합니다..

 

그런데 부처님이 입멸한 지 100년이 지나자 불교 교단 안에서 계율과 교리의 해석에 대한 의견 차이가 생겼습니다. 그것을 계기로 하여 상좌부(上座部)와 대중부(大衆部)로 나누어졌으며, 그 후로 다시 18부파로 나뉘어지게 되었습니다. 근본 2파와 후대의 부파를 합쳐서 본말(本末) 20부파라 하며, 그 시대를 부파 불교라 합니다.

 

대승 불교는 서력 기원을 전후로 하여, 부파 불교의 폐단이었던 지나친 형식화와 학문화를 지양하고, 초기 불교의 정신을 회복하자는 새로운 조류의 하나로 시작되었습니다.

 

(4) 지역적 분류

지역을 중심으로 하여 남방(南方) 불교와 북방 불교로 나뉩니다. 남방 불교는 스리랑카, 미얀마, 태국, 캄보디아, 라오스 등으로 유입되어 성행하였던 불교를 지칭합니다. 주로 팔리어경전을 중심으로 성립된 것이 특징으로 꼽힙니다.

 

북방 불교는 서북 인도에서 중앙 아시아를 거쳐서 중국, 몽고, 우리 나라, 일본 등지로 전파된 불교를 가리킵니다. 주로 산스크리트 어 경전을 중심으로 성립되었으며, 중국의 한역(漢譯) 경전이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5) 교의(敎義) 내용에 따른 분류

가르침의 내용에 따라 크게 현교(顯敎)와 밀교(密敎), 둘로 나뉩니다. 현교란 화신(化身)이 중생의 근기(根機)에 따라 설한 교법이 중심이 되는 것을 말하며, 밀교란 법신(法身)이 스스로 성취한 내밀한 경지를 드러내 보인 것을 말합니다.

 

(6) 의지하는 주체에 따른 분류

자력교(自力敎)와 타력교(他力敎)로 나뉩니다. 자력교란 자신의 수행 정진을 통해서 모든 번뇌를 끊고 깨달음에 이르는 것을 최상으로 삼는다는 뜻입니다. 이에 반하여타력교는 부처와 보살의 힘에 의지하여 자신을 구제하고 마침내 성불에 이르게 된다고 보는 경우를 말합니다.

 

circle03_skyblue.gif 불교의 3보(寶)

 

불교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세 가지 보배, 3보는 불보(佛寶), 법보(法寶), 승보(僧寶)입니다. 이 세 가지를 보배로 꼽는 이유는, 부처님과 그 가르침과 수행자들이 모두 거룩하고 변치 않는 대위덕(大威德)을 지녀서, 마치 보배와 같이 고귀하기 때문입니다.

불보에는 우리 스스로가 부처님과 같은 삶의 모습과 원만하고 무량한 공덕을 갖추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법보에는 우리 스스로가 부처님처럼 모든 중생에게 교법을 그들 각각의 근기(根機)에 맞추어서 가르쳐야 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승보에는 우리 스스로가 부처님처럼 모든 불보살(佛菩薩)들에게 공양(供養)을 올리고 교법에 따라 깨달음의 마음을 내고 수행에 정진해야 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3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있습니다.

 

먼저 불, 법, 승, 3보를 조직(組織) 3보라고도 하는데, 그 각각은 교주(敎主), 교리(敎理), 교단(敎團)을 의미합니다.

 

둘째로, 동체(同體) 3보란 참되고 한결같은 진여(眞如) 법신(法身)에 본래 갖추어진 완전 무결한 영각(靈覺)으로서의 불보, 참되고 한결같은 진여 법신에 본래 갖추어진 고요한 법성(法性)으로서의 법보, 참되고 한결같은 진여 법신에 본래 갖추어진 덕상(德相)으로서의 승보를 뜻합니다.

 

셋째로, 별상(別相) 3보란 시방 3세(世)의 모든 부처님으로서의 불보, 모든 부처님의 가르침인 법보, 교법에 따르는 수행자인 승보를 말합니다.

넷째로 주지(住持) 3보란 불상과 탱화 등의 불보, 경 율 논, 3장(藏)의 법보, 출가 수행자인 스님들의 승보를 말합니다.

 

circle03_skyblue.gif 불교의 근본 교설

 

(1) 3과설(科說)

현상계의 일체 만유를 법 하나의 항목으로 편입하여 설명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릅니다. 그래서 만유를 구성하는 요소를 종류별로 모아서 5온(蘊), 12처(處), 18계(界)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을 3과설이라 합니다.

 

1) 5온

 

온(蘊)이란 쌓여져 모인 것, 화합하여 한데 모인 것을 말합니다. 생멸하고 변화하는 일체 만유를 기본적인 다섯 가지로 정리한 것이 5온, 즉 색(色), 수(受), 상(想), 행(行), 식(識) 등입니다. 이러한 5온은 한결같이 변화 무쌍하여 영원히 지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우치는 것이 불도 수행의 목적입니다.

 

① 색(色): 육체 또는 물질을 말하며, 그 특성은 일정한 공간을 점거하며 생멸 변화하는 것입니다.

② 수(受): 받아들인다는 뜻으로서, 외계의 대상을 받아들여서 감수(感受)하는 고(苦), 낙(樂), 쾌(快), 불쾌(不快) 등의 인상(印象)이나 감각 등을 말합니다. 감각 기관인 6근(根)과 그 대상인 6경(境)과 인식 주관인 6식(識)이 화합 접촉하여 생겨나는 느낌입니다.

③ 상(想): 대경(對境의 모습을 마음에 잡아서 표상(表象) 또는 지각(知覺)하는 정신 작용을 말합니다.

④ 행(行): 의지, 욕구 등의 마음을 구성하는 정신 작용으로서, 일정하게 고정되지 않고 천류성(遷流性)을 지닌 것이 특징입니다.

⑤ 식(識): 객관의 사물을 분별, 판단, 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말합니다.

 

2) 12처

 

여섯 가지의 감각 기관인 6근(根)과 이 기관의 각각에 대응하는 여섯 가지의 대상인 6경(境)을 합해서 12처라 한다. 즉 지각(知覺)이 생기는 12가지의 조건을 일컫습니다.

세계의 성립 조건을 주관과 객관의 대립 관계에서 열거할 때의 눈(眼)과 색(色), 귀(耳)와 소리(聲), 코(鼻)와 향(香), 혀(舌)와 맛(味), 피부(身)와 접촉되는 것(觸), 마음(意)과 생각되는 것(法) 등입니다.

 

그 중에서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 등의 6근을 6내처(內處)라 하며,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 등의 6경(境)을 6외처(外處)라 합니다. 불교에서는 세계의 모든 것인 일체를 의미하는 말로서 12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3) 18계

존재를 성립시키는 18가지의 구성 요소로서 주관과 객관의 모든 세계를 말합니다. 6근(根)과 6경(境), 6식(識)을 합하여 18계라 합니다.

감각적이거나 지각적인 인식을 감각 기관인 근(根)과 대상 세계인 객관, 즉 경(境)과 식별 작용인 주관, 즉 식(識)이라는 세 범주로 분류하고, 다시 그 각각을 6종의 요소로 분석한 것입니다.

 

(2) 법인설(法印說)

 

인(印)이란 확실하고 변경할 수 없는 것, 불변의 진리 등을 뜻합니다. 따라서 법인이란 불교의 근본 교의를 나타낸 것으로서 법은 영원한 진리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불교에서는 기본적인 것으로서 3법인, 또는 4법인 등을 말합니다.

 

3법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제행무상인(諸行無常印): 일체 모든 것은 시간 속에서 변화하고 유전 상속하는 것입니다.

둘째, 제법무아인(諸法無我印): 일체 모든 법은 인연법에 의해서 모이고 흩어지므로, 그 어떤 것도 실체가 없는 것을 말합니다.

셋째, 열반적정인(涅槃寂靜印): 모든 중생이 생사의 윤회를 떠나 적멸의 상태인 열반에 이르는 것이 최상의 경지라는 것입니다.

여기에 일체개고인을 더하여 4법인이라 합니다.

 

일체개고인(一切皆苦印): 모든 것은 변하며 스스로 존재하는 주재자(主宰者)란 없는 것입니다. 따라서 세상 모든 것은 무상하며 고통일 뿐이라는 진리를 말합니다.

요컨대 현상계의 모든 것은 다 인연에 따라 생겨나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법은 시간적으로는 무상(無常)하고, 공간적으로는 무아(無我)입니다. 이러한 이치를 여실히 보지 못하고 온갖 망심(妄心)에 사로잡힌다면, 이 세계는 단지 고해(苦海)일 뿐이며, 그와 반대로 이를 여실히 보고 망심을 떠나 바르게 산다면 열반에 이르게 됩니다.

 

(3) 연기설(緣起說)

 

연기(緣起)란 말의 뜻은 말미암아 일어난다 즉 어떤 조건에 의해 발생한다는 의미입니다. 모든 존재와 현상은 원인과 조건이 서로 관계하여 성립됩니다. 따라서 인연에 의해서 그와 같은 모습으로 성립되어 있을 뿐이며, 독립하여 스스로 존재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이와 같이 연기법은 사물의 존재와 성립에 대한 법칙을 밝힌 가르침입니다.

 

특히 12가지 요소가 서로 인과 관계를 이루어 가면서 성립되는 것을 12연기라 하며, 이는 초기 불교 이래로 연기법의 기본으로서 설명되고 있습니다. 12가지 요소는 무명(無明), 행(行), 식(識), 명색(名色), 6입(入), 촉(觸), 수(受), 애(愛), 취(取), 유(有), 생(生), 노사(老死) 등입니다. 이러한 12연기설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설파했던 가르침들 가운데서도 가장 핵심적인 교리이며, 불교를 이해하는 데 가장 기초가 되는 것입니다.

 

① 무명: 4제(諦) 등의 진리를 모르는 미망의 근본인 무지를 말합니다.

② 행: 무명으로부터 다음의 의식 작용을 일으키는 상(相)으로 우리가 짓는 업을 뜻합니다.

③ 식: 인식 주관으로서의 6식(識)입니다.

④ 명색: 이름만 있고 형상이 없는 마음, 또는 정신을 명(名)이라 하고, 형체가 있는 물질 또는 신체를 색(色)이라 합니다.

⑤ 6입: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 등의 6근(根)입니다.

⑥ 촉: 감각과 지각 등의 성립 조건인 6근, 6경, 6식, 이 셋이 만나서 생겨나는 것입니다.

⑦ 수: 6근, 6경, 6식, 셋이 만나서 촉을 이루고, 그 후에 생기는 고통, 쾌락 등의 느낌을 말합니다.

⑧ 애: 욕망의 만족을 바라는 욕구와 열망, 갈애 등입니다.

⑨ 취: 자기 자신이 소유하고 싶어하는 집착을 말합니다.

⑩ 유: 생사 윤회하는 중생의 생존계로서 3계(界) 25유(有)를 말합니다.

⑪ 생: 중생이 어떤 부류의 중생계에 태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⑫ 노사: 태어나서 늙고 죽는 것으로서 중생의 모든 고통을 대표합니다.

 

(4) 4제설(諦說)

 

4제란 네 가지의 성스러운 진리라는 뜻입니다. 인생의 괴로움을 설한 고성제(苦聖諦), 괴로움의 원인인 집성제(集聖諦), 괴로움의 소멸인 멸성제(滅聖諦),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인 도성제(道聖諦)가 4제입니다. 고(苦), 집(集), 멸(滅), 도(道), 네 가지는 번뇌로 말미암아 업을 지어서 3계를 윤회하는 모든 중생들로 하여금 윤회의 괴로움에서 벗어나 적정, 안온한 열반에 들게 하기 위한 부처님의 가르침입니다.

 

고성제란 미혹에 빠져 있는 이 세상의 모든 것은 다 고통일 뿐입니다. 태어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것, 네 가지 고통은 4고(苦)라 하며, 거기에 애별리고(愛別離苦), 원증회고(怨憎會苦), 구부득고(求不得苦), 오음성고(五陰盛苦)를 더하여 8고라 합니다.

 

애별리고란 좋아하는 대상으로부터 분리되는 고통을 말하고, 원증회고란 싫어하는 대상과 만나는 고통, 구불득고란 바라는 것을 얻지 못하는 고통, 오음성고는 무상한 5음(陰) 즉 5온(蘊)을 집착하는 데서 생기는 고통을 말합니다.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등의 세 가지는 외적인 대상과의 관계에서 발생하고, 오음성고는 자기로부터 발생하는 고통으로서 심신(心身)에 대한 집착에서 발생합니다. 집성제는 고통의 원인으로서 구하고 탐내는 마음이 그치지 않는 집착을 말합니다. 6내처(內處), 즉 안(眼), 이(耳), 비(鼻), 설(舌), 신(身), 의(意)에 애욕이 있고, 물듦이 있고, 집착이 있는 것입니다.

 

멸성제는 번뇌와 집착이 없어지고 온갖 고통이 소멸된 상태 즉 열반을 뜻합니다.

도성제는 온갖 고통이 없는 최상의 이상향인 열반에 이르는 바른 수행의 길을 말합니다. 여기에는 여덟 가지의 방도, 즉 8정도(正道)가 있습니다.

 

8정도란, 정견(正見) 즉 바른 견해, 정사(正思) 즉 바른 사유, 정정진(正精進) 즉 바른 노력, 정념(正念) 즉 바른 명심, 정어(正語) 즉 바른 말, 정업(正業) 즉 바른 행위, 정명(正命) 즉 바른 생활, 정정(正定) 즉 바른 명상 등입니다.

 

(5) 수도론(修道論)

 

1) 5정심관(停心觀)

 

중생의 주관(主觀)을 다스리기 위한 수도의 방법으로서 가장 대표적인 다섯 가지를 말합니다. 이러한 다섯 가지의 관법을 통해서 온갖 삿된 마음을 끊기 때문에 5문선(門禪), 5관(觀)이라고도 합니다.

 

① 부정관(不淨觀): 중생의 탐욕심을 다스립니다.

② 자비관(慈悲觀): 중생의 진심(瞋心) 즉 성내는 마음을 다스립니다.

③ 연기관(緣起觀): 중생의 어리석은 마음을 다스립니다.

④ 수식관(數息觀): 중생의 산란심(散亂心)을 다스립니다.

⑤ 불상관(佛像觀): 중생의 업장(業障)을 다스립니다.

 

2) 37조도품(助道品)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 수행하는 37가지의 방법을 말합니다. 즉 4염처(念處), 4정근(正勤), 4여의족(如意足), 5근(根), 5역(力), 7각지(覺支), 8정도(正道) 등을 모두 합한 것입니다. 37보리도법(菩提道法)이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수행 방법을 통해서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① 4염처: 범부 중생의 주관을 바꾸어 출세간(出世間)의 불법(佛法)을 배우도록 하는 수행 방법입니다. 먼저 신념처(身念處)는 몸은 부정하다고 관합니다. 수념처(受念處)는 수(受)가 고통이라는 것을 관합니다. 심념처(心念處)는 마음이란 무상(無常)한 것임을 관한다. 법염처(法念處)는 모든 법이 무아(無我)라는 것을 관하는 것입니다.

 

② 4정근: 모든 악을 끊고 선(善)을 키우기 위해서 정진하는 것입니다. 먼저 율의단(律儀斷)이란 아직 생기지 않은 악을 끊기 위하여 힘쓰는 것입니다. 둘째로 단단(斷斷)이란 이미 생긴 악을 끊기 위해서 힘쓰는 것입니다. 셋째 수호단(隨護斷)이란 아직 나타나지 않은 선을 나타내기 위하여 힘쓰는 것입니다. 즉 부처님의 정도(正道)를 보호하여 악법(惡法)이 일어나지 않게 하여 선이 생기도록 힘쓰는 것을 말합니다. 넷째 수단(修斷)이란 이미 생긴 선을 잘 키우는 것을 말합니다.

 

③ 4여의족: 4신족(神足)이라고도 한다. 노력하지 않아도 수행이 뜻과 같이 잘되는 것을 말합니다. 첫째 욕신족(欲神足)이란 구도심(求道心)이 강렬하여 하고자 하는 대로 수행이 잘 되는 것입니다. 둘째 정진신족(精進神足)이란 정진이 저절로 잘 되는 것입니다. 셋째 염신족(念神足)이란 정념(正念)이 한결같이 지속되는 것입니다. 넷째 사유신족(思惟神足)이란 선정(禪定)이 한결같이 잘 진행되는 것입니다.

 

④ 5근: 불법 가운데 도의 뿌리를 깊이 내려 세속법에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수행법을 말합니다. 첫째로 신근(信根)이란 신념이 도법에 굳게 뿌리를 내리는 것입니다. 둘째 정진근(精進根)이란 정진함에 있어서 물러섬이 없는 것입니다. 셋째 염근(念根)이란 불법을 항상 생각하는 데 뿌리를 내리는 것입니다. 넷째 정근(定根)이란 선정에 뿌리를 내리는 것입니다. 다섯째 혜근(慧根)이란 불법의 진리를 여실히 아는 바른 지혜에 뿌리를 내리는 것입니다.

 

⑤ 5역: 열반을 증득하기 위한 수행 방법으로서 뛰어난 작용을 하는 다섯 가지 힘을 말합니다. 첫째 신력(信力)으로서 불법을 믿고 다른 법을 믿지 않는 힘, 둘째 진력(進力)으로서 수행에만 정진하는 힘, 셋째 염력(念力)으로서 수행에만 전념하는 힘, 넷째 정력(定力)으로서 선정을 닦아서 산란한 생각을 제거하는 힘, 다섯째 혜력(慧力)으로서 지혜를 닦아서 온갖 어리석은 생각을 없애는 힘을 말합니다.

 

⑥ 7칠각지: 깨달음으로 이끌어 주며, 깨달음에 도움이 되는 일곱 가지의 수행 방법을 말합니다. 첫째 택법각지(擇法覺支)로서 진실된 것을 선택하고 거짓된 것을 버리는 것, 둘째 정진각지(精進覺支)로서 불법 수행에 일심(一心)으로 정진하는 것, 셋째 희각지(喜覺支)로서 부처님의 가르침을 실천하는 기쁨, 넷째 경안각지(輕安覺支)로서 몸과 마음을 가볍고 쾌적하게 하는 것, 다섯재 사각지(捨覺支)로서 온갖 집착을 버리는 것, 여섯째 정각지(定覺支)로서 마음을 집중하여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 일곱째 염각지(念覺支)로서 정혜(定慧)를 잊지 않는 것입니다.

 

⑦ 8정도: 멸성제(滅聖諦)를 성취하는 수행 방법을 말합니다. 정견(正見) 즉 바른 견해, 정사(正思) 즉 바른 사유, 정정진(正精進) 즉 바른 노력, 정념(正念) 즉 바른 명심, 정어(正語) 즉 바른 말, 정업(正業) 즉 바른 행위, 정명(正命) 즉 바른 생활, 정정(正定) 즉 바른 명상 등 여덟 가지는 열반으로 이끌어 주는 최선의 길입니다.

 

3) 3학(學)

불도를 수행하는 이라면 누구나 반드시 닦아야 하는 기본적인 세 가지 수행 방법을 말합니다. 즉 마음을 맑게 하는 계(戒),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정(定), 마음을 밝게 하는 혜(慧) 등입니다.

 

① 계학(戒學): 악을 끊고 선을 닦는 것입니다. 계란 불교에 귀의한 사람이면 누구나 지켜야 할 규범입니다. 본래 계란 습관이나 그 습관으로 인한 행위를 뜻한다. 또한 계는 금제(禁制)를 뜻하는 말로서, 소극적으로는 악을 막는 것을 뜻하며, 적극적으로는 모든 선을 낳는 근본으로 보았습니다.

 

② 정학(定學): 마음이 고요하게 안정시키고, 정신을 통일하는 것입니다. 마음을 한 곳에 머물게 하여 흩어지지 않고 고요히 통일시키는 수행법입니다.

 

③ 혜학(慧學): 현상인 사(事)와 본체인 이(理)를 관조함으로써 모든 사상(事象)과 도리(道理)에 대해 그 옳고 그릇됨을 분별하고 판단하는 마음을 기르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문혜(聞慧), 사혜(思慧), 수혜(修慧), 셋을 꼽습니다. 문혜란 교법을 듣고 얻는 지혜를 말하며, 사혜란 생각하고 고찰하여 얻는 지혜, 수혜란 선정을 닦아서 얻는 지혜를 말합니다.

 

circle03_skyblue.gif 불자의 실천 덕목

 

(1) 6바라밀(波羅蜜)

 

보살이 열반에 이르기까지 수행해야 할 여섯 가지 조목으로서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 등을 말하며, 6도(度)라고도 합니다.

 

보시란 자비심으로써 중생을 사랑하고 조건 없이 널리 베푸는 것입니다.

지계란 계율을 엄격하게 지켜서 범하지 않는 것입니다.

인욕이란 온갖 욕됨을 참고 마음을 고요히 안주시키는 것입니다.

정진이란 항상 수행에 힘쓰고 게으르지 않는 것입니다.

선정이란 마음을 고요히 하여 통일시키는 것입니다.

지혜, 즉 반야란 참다운 법의 이치에 계합한 최상의 깨달음을 얻는 것입니다.

 

 

(2) 4섭법(攝法)

 

중생을 제도하는 데 기본적인 네 가지 자세를 말합니다.

첫째 보시섭(布施攝)으로서 중생에게 자비로써 대하고 널리 베풀어 주는 것입니다.

둘째 애어섭(愛語攝)으로서 진실되고 따뜻하고 부드러운 말로 중생을 대하는 것입니다.

셋째 이행섭(利行攝)으로서 선행(善行)으로 중생을 이롭게 하는 것입니다.

넷째 동사섭(同事攝)으로서 모든 불보살이 중생의 근기에 따라 몸을 나타내며 그들과 고락을 함께하고 화복(禍福)을 함께하면서 교화(敎化)시키는 것입니다.

 

 

(3) 4무량심(無量心)

 

중생을 향한 보살의 네 가지 마음을 말합니다.

첫째 자(慈) 무량심으로서 중생에게 즐거움을 주려는 마음,

둘째 비(悲) 무량심으로서 중생의 고통을 없애 주려는 마음,

셋째 희(喜) 무량심으로서 중생의 기쁨을 함께 기뻐하는 마음,

넷째 사(捨) 무량심으로서 중생을 평등하게 보는 마음입니다.

 

<참고> 불교의 세계관 - 수미산

 

고대 인도인들은 세계의 중앙에 수미산이 높이 솟아 있다고 사유하였다. 수미(須彌)는 산스크리트 Sumeru를 소리나는 대로 적은 것으로, 묘고(妙高)라고 번역한다. 이 산은 해발이 8만 유순(由旬), 바다 밑에 잠긴 길이가 8만 유순이라고 한다.



 

2) 종교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악한 자를 착하게 하고(止惡修善) 
어리석은 자를 지혜롭게 하며(轉迷開悟), 
범부를 성현되게 하고(革凡成聖), 
고통이 있는 자로 하여금 즐거움을 얻게하는 것이다.(離苦得樂)

3) 
종교의 종류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유신교(有神敎)와 무신교(無神敎)가 있다.

4) 
무신교(無神敎)란 어떤 것입니까?
창조신을 부정하고 모든것은 어떤 원리나 법칙을 따라 
성주괴공(成.住.壞.空)한다고 믿는 종교이다.

5) 
유신교에는 어떤 종교가 있습니까?
유일신을 믿는 일신교(一神敎: 기독교, 회교)가 있고 
다신을 믿는 다신교(多神敎: 흰두교), 온갖것을 신으로 보는
범신교(汎神敎) 및 교차신교(交叉神敎) 등이 있다.

6) 
무신교에는 어떤 종교가 있습니까?
불교와 유교가 있다.

7) 
유교(儒敎)는 어떤 종교입니까?
우주 인생이 음양오행(陰陽五行)의 법칙에 의하여 이뤄졌다고 믿으며, 
삼강오륜(三綱五倫)을 잘 지키면 
태평성대를 이룬다고 가르치는 종교이다.

8)
 불교는 어떤 종교입니까? 
부처님의 가르침을 믿고 실천하는 종교이다.
첫째 인과응보(因果應報)를 믿고, 
둘째 인연(因緣)의 소중함을 깨닫고, 
셋째 그 인과 인연이 모두 한 마음에서 지어진 것을 알고, 
넷째 언제 어디에서나 가장 휼륭한 일을 하여 고통중생을
구제하는 것이다.

9) 
불교의 상징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卍자와 연꽃, 법륜(法輪), 일원(0), 원이삼점( ), 보리수(菩提樹), 
5색기 등이 있다.

10) 卍자는 무엇을 상징합니까?
원래는 태양의 광명을 상징한 글자였으나 
불교에서는 일심의 서기방광에 비유하였고 
부처님의 가슴과 손발 머리에 나타난 
길상(吉祥) 행운(幸運) 경복(慶福)의 마크로 사용하였다.

11) 
연꽃에는 어떤 의미가 있습니까?
연꽃은 진흙물속에 피면서도 물에 젖지 않고(處染常淨), 
꽃과 열매가 동시에 이루어지는(花果同時)의 특징이 있는데 
불교에서는 
부처님께서 5탁악세에 태어나 계시면서도 
거기 물들지 않고 인과동시의 인연법을 통하여 
3계의 중생을 교육한데 비유하고 있다.

12)
 종교를 믿으면 어떤 이익이 있습니까?
사랑과 믿음과 소망이 생기며 자유와 해탈의 무애한 힘이 생긴다.

13) 
요즘 세계각국에서 일어나고 있는 종교전쟁의 위기를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모든 종교의 진리는 하나다. 
교단. 교주를 향한 아집과 아만을 버리고 모든 성자들이 
몸소 실천하였던 사랑과 지혜와 자비, 인의로서 
인류의 자유와 평화를 위하여 봉사하여야 한다.

14) 
불교의 교주는 누구입니까?
석가모님 부처님이다.

15) 
언제 어디서 태어 나셨습니까?
지금으로부터 2천 5백년전(BC. 566) 
중인도 카필라국 룸비니공원에서 4월 8일 태어났습니다.

16) 
부처님의 부모는?
아버지는 정반왕이고 어머니는 마야부인이시다.

17) 
부처님은 집에서 무슨 공부를 하였습니까?
바다하야나로부터 베다와 내명(내명: 철학), 
공교명(공교명: 미술, 공예, 건축, 역산), 
성명(성명:음악), 의방명(의방명. 의학, 금주). 
인명(인명. 논리)등 5명과 64종의 문예와 29종의 무예를 익혔다.

18) 
부처님의 가족은?
야소다라와 결혼하여 아들 라훌라를 낳았다.

19) 
부처님은 왜 출가하셨습니까?
약육강식의 모순과 생로병사의 고통을 보고 
의지없는 자에게 의지처가 되고 집없는 자에게 
집이 되기 위해서 출가하였다.

20) 
부처님은 처음 출가하여 무슨 공부를 하였습니까?
발가선인과 아라라가라마 웃다가라마하풋타로부터 
고행과 선정의 방법을 배웠다. 
그러나 모두 이것은 견성법(見性法)이 아니므로 
부처님께서 독특하게 개발한 중도법으로 스승없이 깨달았다.

21) 
부처님께서 도를 깨달았다 하는데 그것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탐진치의 번뇌망상을 항복받고 
본래 갖추어진 천진자성(천진자성)을 깨달으신 것이다. 
이것을 인도사람들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증득하였다 한다.

22) 아뇩다라삼먁삼보리란? 
"아"는 "없다"는 뜻이고, "뇩다라"는 "최고", "삼"은 "바르다"의 뜻이고, 
"먁"은 "같다"의 뜻이며, 보리는 "깨달았다"는 뜻이니 
아뇩다라삼먁삼보리는 최고로 위없는 도를 깨달았다는 말이다.

23) 
부처님의 성도지는?
마가다국 가야성 가야림 보리수밑 금강보좌에서 
35세(혹 30세) 되던해 12월 8일 새벽 개명성을 바라보는 순간 
도를 깨달았다.

24) 
부처님께서는 도를 깨닫고 나서 무엇하셨습니까?
중생을 제도하여 고통이 있는자로 하여금 락을 얻게하고 
어리석은 자로 하여금 지혜있는 자가 되게 하였으며, 
악한 자를 선하게 하시고 범부를 성현되게 교육하였다.

25) 부처님이란 무슨말입니까
일체를 깨달으신 분이란 뜻이다. 

26) 부처님께서 남기신 4대성지는 어디어디 입니까
1. 부처님께서 태어나신 카필라국의 룸비니 
2.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마가다국의 붓다가야 
3. 부처님께서 전법하신 녹야원 
4. 부처님께서 입멸하신 구시나가라 

27) 
불교의 명절은 ? 
1. 탄생재일 음 4월 8일 
2. 출가재일 음 2월 8일 
3. 성도재일 음 12월 8일 
4. 열반재일 음 2월15일 
5. 우란분(백종)재일 음 7월 15일 

28) 
부처님께서 우리에게 가르쳐 주신 진리는 무엇입니까? 
인연법(因緣法)입니다.

29) 
인연법이란 무엇입니까? 
마음의 3가지 작용이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은 한마음 속에서 인과 연을 장만하여 
하나의 결과를 창조해 가고 있다는 것이다.

30) 
윤회(輪廻)란 무엇입니까? 
선악업보에 의하여 탄생되는 세계가 
지옥, 아귀, 축생, 인.천, 수라등 여섯 개가 있는데 
이 세계를 윤회전생하는 것을 말한다.

31)
 지옥. 아귀. 축생은 어떤 중생이 태어나는 곳입니까? 
지옥은 화 잘내는 중생이 태어나고, 
아귀는 탐욕중생이 태어나고 
축생은 어리석은 중생이 태어나는 곳이다. 
이곳은 주로 악도 중생이 태어나 가진 고통을 받는 곳이므로 
3악도라 한다.

32) 
3악도를 벗어나 3선도에 태어나려면 어떻게 하여야 합니까? 
성현들의 가르침을 본받아 철저히 계율을 지키며 나쁜짓 하지 않고 
착한일 많이 하면 된다. 
그러나 설사 천당에 태어난다 하더라도 윤회는 완전히 벗을수 없다. 
복이 다하면 다시 타락하기 때문이다.

33) 
재(齋 )란 무엇입니까? 
몸과 입과 뜻을 정제(整齊)하는 것을 말하는데 
불교에서 행하는 49재, 백일재, 성도재 같은 것이 
모든 영혼과 산 사람의 정신과 육체를 밝히는 일이므로 
불교에서는 불사일체를 재로 총칭한다.

34) 
출가수행자는 왜 머리를 깍고 법복을 입습니까? 
머리를 깍는 것은 번뇌를 끊는 정신적 의지를 상징한 것이고 
법복은 중생의 복전을 표한 동시에 출가행자의 표식으로 
중생 교화의 방편이다.

35) 불상은 왜 모십니까? 
모든 인류의 스승으로서 불교신앙의 표적을 상징하여 
믿는 자로 하여금 스승을 존경하고 사모하는 마음을 일으키기
위해서다. 

36) 
부처님께 공양은 왜 올립니까?  
우리가 소중히 여기는 것이므로 스승을 공경하는 의미에서 올린다.

37) 
부처님께 올리는 공양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대개 여섯가지를 6법공양이라 한다. 
1. 등 공양 : 진리의 등불을 상징
   (이것이 밝혀 지면 세상이 밝아진다.) 
2. 향 공양 : 계. 정. 혜. 해탈. 해탈지견의 5분향상징
   (이것이 성취되면 세상이 맑아진다.) 
3. 다공양 : 감로다상징
   (이것이 충만하면 세상에 목마른 자가 없어진다.) 
4. 꽃공양 : 아름다움의 상징
   (이것이 성취되면 꽃같은 법신구가 장엄된다.) 
5. 곡식공양 : 씨앗을 상징
   (이것이 성취되면 세상의 업이 깨끗하여진다.) 
6. 과실공양 : 결실을 상징
   (이것이 성취 되면 세상에 해탈의 과가 무르익는다.) 

38) 
부처님께서 복과 지혜를 줍니까? 
복과 지혜는 스스로 짓고 받는 인과이지만 
부처님을 반연하여 복성을 일으키고 지혜심을 일으켰다면 
부처님께서 복과 지혜를 준 것이 된다.

39) 
부처님께서 병고 액난을 없애줄수 있습니까? 
불심은 원래 깨끗하여 병들고 죽는 액난이 없다. 
따라서 부처님을 믿고 실천하여 불심을 깨달으면 
영생은 물론 현실의 온갖 액난과 고통을 없앨수 있다.

40) 
예불은 어째서 합니까? 
제자가 스승을 공경 찬탄하는 마음으로 하되 때를 따라서는 
자기의 죄업을 참회하기 위해서도 한다.

41) 
염불은 왜 합니까? 
불.보살을 생각하면 늘 기쁜 마음과 평온한 마음이 생기기 때문이다.

42) 
염불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1. 부처님의 모습을 마음속으로 관찰하는 관상염불(觀想念佛)과 
2. 부처님의 상호를 생각속에 그려넣는 관상염불(觀像念佛) 
3. 부처님의 명호를 입으로 부르면 귀로 듣는 칭명염불(稱名念佛)
4. 실상염불(實相念佛) 네가지가 있다.

43) 
염불을 할 때는 어떤 부처님의 명호를 외워야 합니까? 
자기가 좋아하는 불보살의 명호를 부르면 된다.

44) 
왜 불교에는 그렇게 많은 불보살이 계십니까? 
과거 현재 미래에 있어서 마음을 깨닫고 부처님이 되어 
중생을 교화하는 불보살이 많기 때문이다.

45)
 아미타불이란 어떤 분입니까? 
48원으로 극락세계를 장엄하여 
고통중생을 구제하시는 분이다.

46) 관음 세지는은 어떤 분입니까? 
아미타불의 비서로서 자비 희사로서 중생에게 봉사하는 분이다.

47) 
약사부처님은 어떤 분입니까? 
동방만월 세계를 주관하는 부처님이다.
12대원을 세워 이 세계를 건립하였다.

48) 
지장보살은 어떤 분입니까? 
지옥을 건지지 못하면 성불하지 않겠다고 서원하여 
항상 지옥문전에 이르러 눈물을 그치지 않고 구제하는 보살이다.

49) 문수, 보현은 어떤 분입니까? 
문수는 지혜(智慧)의 상징이고 보현은 행원(行願)의 대명사다.

50) 
부처님과 보살의 차이점은 어디 있습니까? 
부처님이나 보살은 똑같이 불성을 깨달은 분이지만 
부처님은 깨달음에 감정이 완전히 끊어 졌으나(覺無情)
보살은 아직 감정이 남아(覺有情) 중생을 제도하는데 차이가 있다.

51) 육
바라밀이란 무엇입니까? 
보살이 중생을 이익하게 하는 여섯가지 덕목이다.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가 그것이다.

52) 
기도(祈禱)란 무슨 말입니까? 
마음을 비운다는 말이다. 
부처님과 보살들을 한결같이 마음으로 생각하며 기도드리면 
마음 속의 번뇌 망상이 모두 비워 공하게 되기 때문이다.

53) 참회(懺悔)란 무엇입니까? 
몸과 입과 뜻으로 지은 모든 업들은 불보살들의 원행과 비교하여 
잘못되었으면 뉘우치고 고쳐나가는 것이다.

54) 
염주는 무엇을 상징하며 왜 가집니까? 
마음에 구슬을 상징하고 염불의 숫자를 헤아리기 위해서 가진다.

55) 
아라한 이란 무엇입니까? 
'아'는 '없다'는 뜻이고 '라한'은 '학'의 뜻이니 
'더이상 배울것이 없는 무학성자'를 아라한이라 한다.

56) 불경은 누가 어떻게 편집하였습니까? 
부처님께서 돌아가시던해 마하가섭이 상수가 되어 
아난존자가 경전을 편집하고 우팔리 존자가 율장을 편집하고
사리불등이 논장을 편집하여 3장을 편집하였다.
  
57)
 삼장이란? 
경(經), 율(律), 논(論) 3장을 말한다. 
경은 부처님 말씀으로 선악인과의 법칙과 마음의 체상용(體相用)을 
밝혀 놓은 것이고 율은 교단의 규율로 승가의 생활규범을 말하며 
논은 경율에 대한 해설로서 정사(正邪)를 구분해 놓은 것이다. 
이것을 장(藏)이라 하는 것은 큰 창고가 온갖 물건을 갈무리고 있듯 
3장은 온갖 진리를 갈무리고 있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 것이다.

58) 
만 사천법문이란? 
중생의 번뇌병이 8만 4천가지이므로 부처님께서 그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처방하신 약방문도 8만 4천가지가 되어 불교일체의 경론을 
8만 4천법문이라 한다.

59) 
법문이란? 
진리의 문이란 뜻이다. 
8만 4천의 경론이 모두 진리에 들어가는 문 아님이 업시 때문이다.

60) 
번뇌(煩惱)란 무엇입니까? 
몸과 마음을 괴롭히는 악한 견해와 습기(習氣)를 말한다.

61) 
번뇌에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탐욕, 성냄, 어리석음, 거만한 마음, 의심하는 마음의
미사혹(迷事惑)이 있고 신견. 변경. 사견. 견취견. 계금취견등
이치를 흐리게 하는 미리혹(迷理惑) 10가지가 있다.

62) 
독경. 서사란 무엇입니까? 
독경은 경전을 읽고 외우는 것이며 
서사는 그것을 써서 길히 보존하고 널리 펴는 것이다.

63) 
참선(參禪)이란 무엇입니까? 
선(禪)을 참구(參究)한다는 말이다. 
다시 말하면 마음에 안정을 얻고저 하는 사람이 조사의 어록이나 
선지식을 친히 뵙고 그들이 깨달은 진리에 직접 참여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64) 
참선을 하는 방법은? 
행주좌와 어묵동정에 늘 한결같은 마음(佛心)으로 살면 
그것이 곧 참선이 되는데 그렇지 못할 때에는 좌선을 통하여 
몸과 마음을 안정한 뒤에 참선하게 된다.

65)
 좌선이란? 
고요한 곳에 가부좌(반가부좌)를 틀고 단정히 앉아 
호흡을 고른 뒤에 화두를 보면서 참선하면 간화선(看話禪)이 되고
고요히 스스로 그 흘러가는 마음을 관찰하면 묵조선(默照禪)이 된다.

66) 
화두(話頭)란 무엇입니까? 
문제의식이다. 
예를 들면 옛날 조주 스님께서 어떤 스님이 묻기를 
'개도 불성이 있습니까?'하니 '없다' 하였는데, 
그러면 왜 부처님은 일체중생이 모두 불성이 있다 하였는가 
의심을 제기하여 풀어가는 것이다.

67) 
불자(佛子)란 무엇입니까? 
부처님의 제자란 뜻이다. 

68) 
한국에 불교는 언제들어왔습니까? 
고구려 소수림왕 2년 서기 372년 순도 스님에 의하여 
고구려에 불교가 처음들어오고,
백제는 침류와 원년 서기 384년 마라난다에 의하여 전해졌고,
신라는 법흥왕 4년 서기 527년 묵호자 스님에 의하여
처음 불교가 들어 왔다.

69) 
불교가 우리나라에 끼친 영향을 간단히 말씀하여 주십시오. 
1. 정신적으로 모든 국민의 문화창조를 획책하고 
총화단결을 촉진하여 삼국통일의 기틀을 마련하였고, 
2. 민족문화 건설에 크게 이바지 하였으며, 
3, 외교와 복지국가건설에 커다란 역할을 하였다.

71) 
한국불교의 특징은 무엇입니까? 
호국적 통불교이다.

72) 우리나라의 유명한 스님은? 
1. 고구려 : 순도, 아도, 승랑, 혜자, 담징, 혜관 
2. 백 제 : 관측, 겸익, 담욱, 혜인 
3, 신 라 : 원효, 의상, 자장, 진표, 원광, 도선, 혜초, 원측 
4. 고 려 : 나옹, 무학, 의천, 보우, 보조 
5. 조 선 : 서산, 사명, 영규, 부휴, 경헌, 처영, 소암, 
              벽암, 회은 명조, 처능, 성능, 서봉, 편암, 진묵 
6. 근 세 : 경허, 한암, 만공, 만해, 용성 등이 계신다.

73) 성불하십시요 란 뜻은
 ?
순수 우리말로는 (부처님 되십시요) 이다.
세존께서 보리수아래서 깨달음을 이루신다음에
세존 자신만 특이하여 깨달음이 있었는줄 알았는데
깨닫고나니 이 세상 미물도 다 불성의 씨앗이 있다는걸 알았다.

우리는 (깨달아서 부처님 세상을 만드십시요~) 하는 차원에서
"성불하십시요"라고 불자님들은 인사를 한다.